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초향의 기원 및 내력, 성상 및 형태, 성분 및 용도, 분류 및 품종

by 행부Q 2025. 1. 31.

배초향
배초향

1. 기원 및 내력

  배초향은 중국, 일본, 대만, 한국 등 동아시아의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잡초처럼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각처의 산야지나 계곡의 약간 습기 있는 곳 또는 햇볕이 잘 쬐는 곳에 자생하며 지방명 또는 이명으로는 방아풀, 중개풀, 방아잎, 배향초, 곽향, 토곽향 등으로 불린다.  배초향의 우리말 이름은 배초향이나 방아풀이라고 하는 것이 더 옳다는 놀란이 있기도 하나 여기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배초향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배초향은 가까운 텃밭이나 밭둑 등지에 심어서 음식을 조리할 때 향신료로 쓰거나 나물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상당히 넓은 면적에서 재배하여 판매하기도 하는데 경북 경산, 전남 해남, 순천, 구례, 여수, 경남 하동 등지에서 비교적 많이 재배한다.

 

2. 성상 및 형태

  배초향은 높이 1~1.5m 정도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발생하며 줄기는 네모진다.  잎은 대생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길이는 5~10cm, 너비는 3~7cm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약간의 털과 더불어 흰 빛이 도는 것도 있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이다.

  꽃은 7~9월에 자주색으로 피며, 꽃 모양은 아랫입술이 크고 수술은 2개가 길게 밖으로 나오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윤산화서로 달린다. 화서, 즉 꽃이삭의 길이는 5~15cm, 너비는 2cm 정도로서 둥근 이삭 모양이다.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 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길이 8~10mm 정도이다.  9월부터 열매가 성숙되며 분과는 길이 1.8mm이고 달걀 모양이며 편평한 삼릉형이다.

 

3. 성분 및 용도

  배초향은 식물성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정유의 성분은 지상부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아가스타코사이드와 아카세틴, 디리아닌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천연의 휘발성 성분을 총칭하며 그 자체로도 향기를 제공하며 항염작용, 항암작용, 항균작용 등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노테르펜과 세스퀴테르펜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유성분의 함량은 건물 중량으로 잎에 0.29%,  꽃에 0.38%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된 성분은 메틸차비콜이고 그 외 리모넨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노화방지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항산화성 물질인 로즈마린산의 향유가 밝혀졌고, 부위별로는 뿌리 부분과 어린잎에 많이 함유되어 잇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배초향의 지하부로부터는 디테르페노이드와 트리테르페노이드에 속하는 성분들이 분리되었다.

  배초향은 과거부터 한약재로 쓰였으며 전초를 곽향이라 하기도 한다.  곽향은 기분을 좋게 하고 속을 편안하게 하며 구토를 멎게 하고 습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감기에 의한 두통, 열, 구토, 설사, 구취들 치료한다.  줄기나 잎을 증류해서 얻는 정유를 곽향로라 하며 더위로 인하여 몸이 나른한 데 효능이 있다.  여름철 더우로 나른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속에서 넘어올 것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배초향은 예로부터 일부 민가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어린잎을 식용해 왔다. 특히 장어탕, 추어탕, 보신탕 등의 요리에 들어가는 양념으로 쓰이고, 풋고추와 함께   전을 부쳐 먹거나 장떡을 해 먹기도 하고 진한 된장국에도 넣어 식용해 왔다.  또 간장과 된장 등 식료품에 좋은 향료가 되며, 벌레가 생기는 것을 예방한다.

  곽향은 『 명의별곡』 상품의 침향에 별명으로 수재되고 있고, 중국에서는 포고스테 몬 캐블린의 전초를 광곽향이라 하며,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곽향은 대부분 이것이다.  그 밖에 다른 나라에서도 아카스타케를 채소로 이용하며, 미국의 미주리강 상류 원주민들은 아나스타케 포니쿨럼의 잎을 차를 만들거나 음식의 단맛을 내는 데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최근에는 아 사스타케 포니쿨럼을 차의 혼합재, 화초와 밀원식물로 개발하고 있으며, 또한 과자나 아이스크림의 감미재로 또는 샐러드나 후식의 장식재로 이용하기도 한다.

 

4. 분류 및 품종

  배초향속 식물은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세계적으로는 약 22종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나 국내에는 배초향 1종만 있다. 배초향은 여러 가지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 도해향약대사전』에는 배향초, 곽향으로 적고 있으며, 그 외 지방명으로는 방아잎, 방아풀, 중개풀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문헌 한국식물도감-1998 에는 배초향과 곽향을 다른 식물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배초향의 분류는 확실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북한에서는 방아풀이라 하며 배초향과 곽향은 방아풀의 다른 이름이라고 했다.  중국에는 곽향으로 표기되어 있다.  또 곽향을 개곽향 속으로 분류하고 방아풀을 산박하 속으로 분류하여 배초향과는 다르게 분류한 문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