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럽의 치유농업 사례 (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by 행부Q 2025. 10. 7.
반응형

  최근 전 세계적으로 치유농업(Healing Agriculture, Green care farming, Care Farming)은 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농산물 생산을 넘어, 사람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사회적 재활을 돕는 농업의 확장된 가치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은 1990년대부터 치유농업을 사회복지와 연계된 제도로 발전시켜 왔으며, 정부 정책 차원에서 농민과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그리고 기타 유럽 국가의 치유농업 정책과 전략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유럽의 치유농업 이미지
유럽의 치유농업 이미지

 

네덜란드: 치유농업의 모범국가

네덜란드는 ‘그린 케어(Green Care)’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90년대 초, 농가의 소득 다각화 정책과 사회복지 예산 절감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국가 전략으로 ‘케어팜(Care Farm)’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 제도는 정신적·신체적 장애인, 노인, 중독자, 청소년 등의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농장에서 일상적 농작업과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농가와 사회복지기관 간의 협약을 통해 이용자 1인당 지원금을 지급하며, 현재 약 1,200개 이상의 케어팜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특히 농부가 직접 돌봄 제공자가 될 수 있도록 ‘케어 파머(Care Farmer)’ 인증제를 마련하고, 농업과 복지 간 네트워크 조직인 ‘그린 케어 네트워크(NaKuRu)'를 통해 품질 관리와 교육을 지원합니다.
네덜란드의 핵심 전략은 “복지의 현장화, 농업의 사회적 기능화”로 요약됩니다. 즉, 농업을 단순 생산의 장이 아닌 사회적 치유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시킨 것입니다.

 

 

영국: 사회적 처방과 연계된 치유농업

영국은 보건의료 시스템(NHS)을 기반으로 ‘소셜 프리스크립션(Social Prescription)’, 즉 ‘사회적 처방’ 제도를 운영하며, 이 안에 그린 케어(Green Care Farming)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의사나 간호사가 정신건강 문제나 사회적 고립을 겪는 환자에게 약 대신 ‘농장 체험, 원예활동, 공동텃밭 참여’를 처방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영국 농업부(DEFRA)와 보건부는 공동으로 ‘Green Care Coalition’을 설립하여 인증 체계, 안전관리 기준, 그리고 사회적 효과 측정 도구를 개발했습니다.
또한 비영리 단체인 ‘Care Farming UK’가 중심이 되어 전국 250여 개의 치유농장을 지원하며, 농업이 단순한 생산활동이 아닌 공공보건 인프라의 일부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전략은 의료와 농업을 연결하는 복합적 돌봄 네트워크를 형성한 점이 특징입니다. 정부, 의료기관, 지역농장, 자원봉사조직이 협업하여 지속가능한 치유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프랑스: 원예치유 중심의 제도화된 접근

프랑스는 ‘치유농업’이라는 용어보다 ‘소시오테라피 원예(Sociothérapie Horticole)’라는 개념을 먼저 발전시켰습니다.
1980년대부터 정신의학 분야에서 식물 돌보기와 정원 가꾸기를 치료적 방법으로 활용하였고, 현재는 병원, 요양시설, 교정기관 등에서 원예치유 프로그램이 제도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프랑스 농식품부와 보건복지부는 공동으로 ‘사회적 농업(Agriculture Sociale)’ 인증제를 도입했으며, 농장 내 장애인 고용, 노인 돌봄, 청소년 직업훈련을 위한 보조금을 지원합니다.
특히 ‘테라피 정원(Jardin Thérapeutique)’ 조성 프로젝트를 통해 의료시설과 농업공간을 연결하고 있으며, 농업교육기관에서는 원예치유사(Hortithérapeute) 양성 과정도 운영합니다.

프랑스의 전략은 예술·문화적 감성을 결합한 정서 중심의 치유농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식물과 인간의 관계’를 예술적·치유적 경험으로 확장시킨 점이 특징입니다.

 

 

 기타 유럽국가의 동향

독일은 ‘사회적 농업(Soziale Landwirtschaft)’을 국가 농정계획에 포함해,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재활농업 중심의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다이내믹 농법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마을형 케어팜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지방정부가 직접 돌봄 농장 운영비를 지원합니다.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그린 리해빌리테이션(Green Rehabilitation)’ 프로그램을 통해, 산림·농장·정원을 활용한 심리치료와 스트레스 완화 서비스를 국가가 직접 제공합니다.
이탈리아는 사회적 협동조합(Cooperativa Sociale)을 중심으로 농업과 복지를 통합하여, 교정·재활·교육 기능을 갖춘 치유농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는 모두 지속가능한 농촌 복지 시스템의 한 축으로 치유농업을 제도화하고 있으며, 농부의 새로운 직업적 정체성(치유농, 사회농업가)을 인정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했습니다.

 

마무리

유럽의 치유농업 정책은 공통적으로 세 가지 핵심축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첫째,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복지 연계, 
둘째, 농부의 전문성 강화와 인증제도,
셋째. 지속가능한 사회적 가치 창출입니다.

네덜란드는 ‘농업의 복지화’, 영국은 ‘의료의 사회화’, 프랑스는 ‘정서적 예술치유’, 기타 국가는 ‘사회적 통합’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앞으로 치유농업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체험 위주의 접근을 넘어, 보건·복지·농업의 삼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치유농업사의 전문성과 사회적 인정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봅니다.

유럽의 사례는 분명한 메시지를 줍니다.
“치유농업은 더 이상 부가적 체험이 아니라, 사람과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하나의 공공정책”이라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