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원식물의 다양성과 멸종위기식물

by 행부Q 2025. 2. 22.
반응형

가시연꽃
가시연꽃

1. 자원식물의 다양성감소와 인류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도 자생지의 파괴, 불법채취, 생태계 기능의 몰이해 등으로 많은 식물이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인류가 많은 자생의 야생식물 중에서 극소수의 식물종만을 선택하여 재배화하고 이용 목적에 알맞은 형질로 개량한 결과, 다양한 재래종이 소수이 우수한 육성 품종으로 대체되었으며, 재배식물의 다양성은 더욱 좁아졌다.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를 살펴보면, 미국의 옥수수 재배면적의 71%를 6개 품종이 재배되고, 콩 재배면적의 56%를 6개 품종이, 감자 재배면적의 72%를 4개 품종이, 고구마 재배면적의 69%를 4개 품종이 점유하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  빵밀의 재배면적 76%를 4개 품종이 점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성 신품종 육성은 식물의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재배식물의 다양성 감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우리 국민이 이용하고 있는 식량, 약품, 산업 생산물 등 국민의 생계, 건강 및 번영을 위한 자산을 상실하는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 생태계의 균형을 급속히 훼손할 수 있다.  자연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의 종류와 생물종의 수에 의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생태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원식물의 다양성 감소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는 우리 국민의 사회적. 심미적.  정신적 가치를 변화시켜, 궁극적으로는 우리 국민의 생존권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2. 특산식물과 희귀 식물. 멸종귀기 식물들

  특산식물이란 국가 단위로 보아 인접국가에는 전혀 분포되지 않는 식물종을 칭한다.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은 나카이에 의해 642종, 402 변종, 74 품종 등  총 1,118군으로 1차적으로 정리된 바 있다.

  희귀 식물이란 지리적으로 제한된 지역에만 생육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멸종위기식물이란 가까운 장래에 특정 지역의 분포지역에서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식물을 말한다.

 

  1)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 (육상식물)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으로 분류되는 육상식물은 9종이 있다.

   ① 광릉요강꽃

    경기도 광릉에 분포하고 세계적으로 대만,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그동안 광릉 숲 속에 자생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절멸상태에 이르고 있다. 몇몇 어린 개체가 자생지에 남아 있는 정도로 알려져 있다.  다년생 초본이며 높이 20~40cm이고, 지하경이 옆으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원줄기는 곧게 자라고 털이 있다.  특히 이식물은 이식할 경우 수년 내에 죽을 뿐만 아니라 조직배양 등의 방법으로도 증식이 되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보존 대책을 세우지 못하는 실정이다.

    ② 나도풍란

     경남 거제도, 남해도와 전남 대흑산도, 보길도, 진도, 해남, 홍도 및 제주도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세계적으로 대만,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상록수나 바위 겉에 붙어 자라는 상록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20cm 안팎이고 비스듬히 서며, 밑에서 굵은 뿌리가 뻗는다.  9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관상초로 쓰인다.

     ③ 만년콩

     상록활엽 소관목으로 높이 30~80cm이고 줄기는 밑부분이 비스듬히 누우며 뿌리는 약간 굵다.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출복엽이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5~8cm,  너비 3~5cm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양 끝은 동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월에 백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포는 피침형이며 화경은 꽃받침과 더불어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나비 모양이며, 수술은 양체이고 과식은 타원형이며 흑남자색으로 익는다.

      ④ 섬개야광나무

       우리나라 경북 울릉도의 해발 500m 지역의 산지암상에 자생한다. 낙엽은 관목이며 높이 1.5cm 안팎이고, 수피는 약간 잿빛이 노는 자주색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관상용, 약용으로 쓰리고 민간에서 기침을 그치게 하는 약으로 쓴다.

      ⑤ 암매

       상록성 초본이며, 드물게 관목으로 자라고 잎은 단엽으로 호생 또는 대생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라산 고산지대 암벽 틈에서 자란다. 키가 10cm쯤으로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무로 알려져 있다.  한라산에서는 보통 50 cm² 정도의 면적으로 바위 곁에 군락으로 이루어 자라지만, 세력을 확장하지 못해 한두 개체가 모인 개체군 상태로도 관찰된다.  민간에서 잎을 수확, 이뇨 등의 약으로 쓴다.

      ⑥ 죽백란

       돈란이라고도 하며, 산 주억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이 10~20cm이다. 헛알줄기는 염주 모양으로 늘어서고 1~3장의 잎이 달린다. 잎은 간 타원 모양이고 길이 20~30cm, 너비 2~3cm이며 끝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길다.  꽃은 5~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피는데, 향기가 없고 곧게 선 꽃대에 3~5개가 달린다.  꽃받침은 창 끝처럼 생겼으며 길이 20~25mm, 너비 2.5~3mm로서 약간 뒤로 젖혀진다.  긴 타원 모양의 입술꽃잎은 끝이 갈래로 갈라지고, 가운데 꽃잎은 삼각 모양에 지은 갈색 점이 여러 개 있다.  암술대는 길이 약 13mm이고 약간 흰다.  마디 부분과 잎이 대나무와 비슷하여 죽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⑦ 털복주머니란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근경은 짧고 굵은 수염뿌리가 많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길이 30~50cm이며, 잎은 3~4장이 어긋 나고, 거친 털이 있는 넓은 달걀형이다.  꽃은 붉은색 또는 흰색이고, 꽃받침 위쪽은 넓은 달걀혀어이다.  옆의 꽃받침 2개는 서로 붙었고, 곁꽃잎 2장은 끝이 뾰족하다.  입술꽃잎은 주머니 모양이며, 열매는 삭과이고 개화기는 5~6월이다.

      ⑧ 풍란

        우리나라 남부의 바위나 나무에 붙어사는 상록 다년생 초본이다. 주변습도가 높고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 반그늘의 바위나 나무의 이끼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10cm이고, 잎은 길이 5~10cm, 폭이 약 0.7cm로  가늘고 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짧은 마디에서 2줄로 어긋나게 달리고 활처럼 아래로 굽어 있다.  꽃은 순백새그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줄기는 기리가 3~10cm이고 끝에 3~5개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3개는 위로 향해 올라가 있고 2개는 아래로 처져 있으며, 새의 꼬리같이 나온 꽃뿔 부분은 길이가 약 4cm로 길게 뒤로 휘어져 아래로 향한다.

      ⑨ 한란

       상록수림 밑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제주도의 자생지에서만 발견되는 절멸에 가까운 식물이다.  상록성으로 높이 25~60cm이고 잎은 선형이며 뒤로 젖혀지고 길이 20~70cm, 너비 6~17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약간 밋밋하다. 7월에 열매가 성숙된다.

 

 2)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육상식물)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분류된 육상식물은 68종인데 이들 중 대표적인 것은 아래와 같다.

     ① 섬시호

       표본조차 몇 점 없는 세계적인 희귀 식물이지만 분류학적으로는 시호속의 다른 종들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좋은 종이다. 세계적으로 울릉도에만 자라는 특산식물이다

     ② 섬현삼

       울릉도 특산의 여러해살이풀로 울릉도의 해안가에만 자라기 때문에 해안도로공사에 의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관리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머지않아 멸종할 것으로 추정된다.

     ③ 매화마름

       서울, 인천, 강화도, 제물포, 전남, 함북 지역에 분포하고, 세계적으로 러시아, 북아메리카, 유럽,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식물이지만 자생지의 개발로 절멸에 가까운 상태에 이르렀다.  최근 강화도에서 규모가 큰 군락이 발견되는 등 서해안 몇몇 곳에서 자생이 확인되고 있지만 자생지가 모두 인위적인 간섭이 쉬운 논이라는 점에서 관리가 매우 어럽다.

 

※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육상식물) 68종

   가시연꽃, 가시오갈피나무, 각시수련, 개가시나무, 개병풍, 갯봄맞이꽃, 구름병아리난초, 금자란, 기생꽃, 끈끈이개,

나도승마, 날개하늘나리, 넓은잎제비꽃, 노랑만병초, 노랑붓꽃, 단양쑥부쟁이, 닻꽃, 대성쓴풀, 대청부채, 대홍란, 독미나리, 매화마름, 무주나무, 물고사리, 미선나무, 백부자, 백양더부살이, 백운란, 복주머니란, 분홍장구채, 비자란, 산작란,

삼백초, 서울개발나물, 석곡, 선제비꽃, 섬시호, 섬현삼, 세뿔투구꽃, 솔붓꽃, 솔잎란, 순채, 애기송이풀, 연잎꿩의다리,

왕제비꽃,  으름난초, 자두땅귀개,  전주물꼬리풀, 제비동자꽃, 제비붓꽃, 제주고사리삼, 조름나물, 죽절초, 지네발란,

진노랑 상사화, 차걸이난, 초령목, 층층둥글레, 칠보치마, 콩짜개란, 큰바늘꽃, 탐라란, 파초일엽, 한라솜다리, 한라송이풀, 해오라비난초, 홍월귤, 황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