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칠나무의 분포 및 특성, 성분 및 용도,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분포 및 특성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로 세계적인 희귀종이다. 우리나라에는 한 속 한 종밖에 없으며, 남해안 일부 도서지방의 해변과 산록수림 속에서 자라는데 전남 보길도의 산야에 특히 많이 자생하고 있다. 내한성이 약한 반면 내음성과 내조성이 강하고 토심이 깊은 습윤한 지역에서 자라며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등과 함께 자란다. 제주도와 전남 완도, 보길도, 해남, 거문도, 가거도, 어청도 등남서해안 도서지역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으로서 해발 30~280m의 산록에서 잘라라는데 특히 해발 50~150m의 산 아래에 분포가 많고 동남향의 사면에 자생지를 이루고 있다. 황칠나무는 교목으로서 높이 7~15m까지 자라며,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수액이 나오는데..
202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