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편마비후유장애3 치유농업 동작의 의미와 상지, 하지 동작에 대하여 치유농업동작의 의미 치유농업은 단순히 식물을 가꾸는 활동을 넘어,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회복을 돕는 통합적 농업활동입니다. 특히 치유농업 프로그램에서의 ‘동작’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볼 수 있습니다. 식물을 돌보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팔과 손, 다리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재활운동으로 연결되며, 참여자들은 운동치료적 효과와 정서적 안정감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유농업동작은 크게 상지활동(팔·손 중심의 활동)과 하지활동(다리·몸 전체 중심의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지활동은 주로 파종, 분갈이, 수확 과정에서 나타나며 세밀한 조작과 집중력을 요합니다. 반면 하지활동은 땅을 고르고 파며, 식재하고, 잡초를 제거하거나 수확하는 등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신체의 대근육과 균형능력을 회복.. 2025. 10. 6. 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완화를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아홉 번째 이야기 1. 도입 – 따뜻한 만남과 기억의 이어짐오늘도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문을 여는 첫 순간은 웰컴티로 시작합니다. 향긋한 차 향과 따뜻한 온기가 혀끝에서 감각을 깨워주며, 오감을 열어 활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작은 한 잔의 차이지만,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긴장을 풀어주는 시작이 되지요.이후에는 인사 나누기 시간이 이어졌습니다. 오늘도 참여자들은 무작위로 명찰을 뽑아 서로의 목에 걸어주며 이름을 불러주고, 반가운 허그를 나누었습니다. 간단한 인사와 포옹 속에는 따뜻한 인간적인 교류가 숨어 있습니다. 이는 곧 정서적 안정감을 주며, 관계를 돈독하게 만들어가는 중요한 순간입니다.또한 지난주 활동을 되돌아보는 ‘퀴즈 시간’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참여자들은 팔과 손을 활용하여 OX 표시를 하며 정.. 2025. 10. 4. 🌱 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완화를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다섯 번째 이야기 1. 도입 오늘은 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완화를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다섯 번째 시간이었습니다.참여자 간 인사나누기로 명찰을 서로 걸어주면 분위기가 금방 환해집니다.그리고 지난 시간 프로그램 내용을 퀴즈로 기억 떠올릴 수 있도록 진행하면 몸동작으로 O, X로 표현합니다.치유농업 프로그램 목적은 텃밭활동을 통하여 몸을 안전하게 움직이면서 일상생활에서 좀 더 편안하게 활동하실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동안은 텃밭을 가꾸고, 허브와 반려식물을 돌보며 몸과 마음을 회복하는 시간을 가졌다면, 오늘은 조금 특별하게 텃밭에서 수확한 가지로 가지도우 미니 피자 만들기를 하며 토핑채소의 색을 보며 색깔을 통해 치유와 소통을 경험하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색은 단순히 눈으로 보는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우.. 2025. 10.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