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치유농업사20

🌿 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완화를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 일곱 번째 이야기 1. 도입 – 수호천사를 만나다오늘도 변함없이 따뜻한 웰컴티로 하루를 열었습니다. 향긋한 차 향이 입안을 감돌며 미각을 깨워주자, 긴장된 몸과 마음이 조금씩 이완되는 듯했습니다. 이어서 진행된 인사 나누기에서는 서로의 이름이 적힌 명찰을 뽑아 목에 걸어주며 인사와 허그를 나누었습니다. 자연스럽게 웃음이 피어나고, 정감 있는 분위기로 만들어집니다.지난주 활동을 복습하는 시간에는 간단한 퀴즈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정답을 말로 외치는 대신 팔과 손으로 OX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참여자들이 적극적으로 몸을 움직였습니다. 이러한 동작은 단순히 정답을 맞히는 것을 넘어, 대근육과 소근육을 동시에 사용하는 훈련이 되어 재활 효과로 이어졌습니다.오늘의 도입에서 가장 특별했던 순간은 바로 ‘마니또 수호천사’ 활동이었습니다.. 2025. 10. 3.
🌱 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완화를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여섯 번째 이야기 1. 도입 – 따뜻한 시작으로 열리는 하루오늘 프로그램은 웰컴티 한 잔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구수한 작두콩 차의 따뜻함이 입안에 퍼지며, 자연스레 미각 자극을 돕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었습니다. 차를 나누는 순간은 단순한 음료 시간이 아니라, 새로운 하루에 대한 기대감을 함께 키우는 시작이 되었습니다.이어지는 인사 시간에는 준비된 명찰을 서로 뽑아 목에 걸어주며 다정하게 인사를 나눴습니다. 이름을 불러주고, 짧은 허그를 건네는 과정에서 마음의 벽이 허물어지고, 웃음이 번지며 따뜻한 분위기가 만들어졌습니다. 작은 제스처지만, 서로의 존재를 존중하고 환영하는 소중한 순간이었습니다.또한 지난주 활동을 되새기며 준비한 퀴즈 시간이 진행되었습니다. 정답은 손과 팔을 활용해 O 또는 X 표시로 표현하도록 하여, .. 2025. 10. 2.
🌱 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완화를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네번째이야기 이 프로그램은 뇌졸중 후 편마비 보유자와 노인들이 텃밭관리 및 식물활용을 통한 신체기능 증진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합니다안녕하세요. 오늘은 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를 겪고 계신 분들과 어르신들을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네 번째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이번 프로그램 역시 단순한 농사 활동을 넘어, 몸과 마음을 함께 돌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텃밭을 관리하며 소통하고, 알로에를 활용한 피부 마사지와 반려식물 화분 만들기를 통해 신체 기능 증진과 자아 존중감 회복을 경험했답니다. 🍃 나의 텃밭과 작물 인사하기오늘의 첫 활동은 나의 텃밭을 둘러보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지난 시간에 심었던 작물들이 잘 자라고 있는지 하나하나 살펴보며 작물들과 “안녕?” 하고 인사했어요.“와, 상추가 많이 자랐네.”“배.. 2025. 9. 29.
🌿 뇌졸중 후 편마비 완화를 위한 치유농업프로그램 – 세 번째 이야기 2025년 농업기술 산학협력 지원사업으로 운영 중인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완화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세 번째 시간을 소개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편마비 후유증 보유자와 노인들이 텃밭관리 식물 활용 활동을 통하여신체기능 증진 및 우울감 해소를 목표로 합니다. 1회 차에는 설문조사와 기초검사, 명찰 만들기를 통해 서로를 알아갔고,2회 차에는 텃밭에 당근과 강낭콩을 파종하고 상추, 배추, 갓, 아욱, 바질 모종을 심으며“나만의 텃밭”을 꾸렸습니다.오늘은 지난 시간에 심은 씨앗과 모종을 살펴보고,허브를 활용한 향기주머니 만들기, 그리고 라벤더 삽목을 통해자연과 더 깊이 교감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텃밭 관찰 – 작은 변화가 주는 큰 기쁨활동의 시작은 텃밭 관찰이었습니다.지난 시간에 뿌린 당근과 강남콩 .. 2025. 9. 28.
🌱 뇌졸중 후 편마비 개선을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 두 번째 시간 텃밭활동 지난 시간에는 설문조사와 기초검사, 그리고 명찰 만들기를 통해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오늘은 본격적으로 흙을 만지고 씨앗과 모종을 심는 텃밭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자연 속에서 몸을 움직이고 손끝으로 생명을 다루는 경험은단순한 농사일을 넘어, 치유와 회복의 과정이 됩니다.🌿 씨앗 뿌리기 – 작은 생명과의 첫 만남첫 활동은 씨앗 파종이었습니다. 오늘 심은 씨앗은 바로 당근과 강낭콩.당근은 땅 속 깊이 뿌리를 내리며 자라기 때문에, 뿌리를 내리는 우리의 마음을 닮았습니다.강낭콩은 싹이 금세 올라와 참여자들에게 빠른 성취감을 줄 수 있는 작물입니다.작은 씨앗을 조심스럽게 흙에 올리고, 흙으로 살짝 덮어주며“잘 자라라”는 마음을 담아 물을 주었습니다.손끝에서 느껴지는 흙의 감촉과 씨앗의 작디작은 존재가.. 2025. 9. 19.
🌿 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개선을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첫 시간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농업기술 산학협력 지원사업으로 운영되는뇌졸중 후 편마비 후유장애 개선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첫 시간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첫 만남, 설문조사와 기초검사프로그램 시작에 앞서 참여자들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먼저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생활 습관, 건강 상태, 농업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확인하면서 앞으로의 과정을 함께 그려보는 시간이었어요.이어 신체적 기초검사도 진행했습니다.장악력 검사 : 손으로 쥐는 힘, 즉 악력을 측정함으로 손가락. 손목. 근육등 근력의 대표 지표로 활용.안단테핏 : 정적 균형검사, 보행속도검사, 일어서기 검사 등.핏토: 체지방률, 근육량 체성분 분석 기능 검사.이 과정은 단순한 검사 이상으로, 앞으로의 활동 변화를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 2025. 9.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