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0

시호 의 특성 및 성분,분류 및 품종,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시호는 시호 또는 그 변종의 뿌리이다. 이 약은 단일 또는 갈라진 뿌리로 윗부분은 굵어 지름이 5~15cm이며 근 두부에는 줄기의 기부가 남아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시호는 여러 해 살리 풀이며 높이 40~70cm이다. 잎은 근생엽으로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며 길이 10~30cm이고, 경 생엽은 넓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4~10cm이다. 잎 몸에는 평행한 맥이 있고 녹색이며, 밑 부분이 좁아져 잎자루처럼 원줄기에 달리고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털이 없다. 꽃은 황색이며 8~9 월에 원줄기 겉과 가지 끝에 겹산형화서로 모여서 핀다.  꽃잎은 5개이며 안쪽으로 굽는다.  수술도 5개이고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는 타원형.. 2025. 1. 25.
복분자의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복분자는 복분자딸기의 덜 익은 열매이다.  복분자딸기는 한국, 일본. 중국, 대반, 오스트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황해도 이남의 중남부 지방 해발 50~1,000m 지역의 산기슭 양지에 자생한다.  과거에는 주로 야생하는 것을 채취하여 한약재로 사용했으나 최근 들어 재배가 늘고 있으며 전북 고창 선운사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주력산지를 이루고 있다.  복분자딸기는 장미과의 다년생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3m에 달하고 끝이 휘어져 땅에 닿으면 기기에서 다시 뿌리가 내린다. 줄기는 자줏빛이 도는 적색이고 흰 가루로 덮여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산방화서가 가지 끝에 달인다.  열매는 둥글고 7~8월에 붉은색으로 익지만 나주에 완전히 익으면 검은색으로 된다.  복분자딸기의 과실에.. 2025. 1. 25.
백수오의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백수오는 백하수오라고도 한다. 백수오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이나 특히 양지바른 풀밭, 바닷가 경사지에 나는 덩굴성 다년생 풀이다.  덩굴의 길이는 1~3m이고  뿌리는 깊이 들어가고 굵으며, 자르면 흰색 유액이 흐른다.  덩굴은 담갈색을 띠며, 다른 물체에 시계방향으로 감고 올라간다.  덩굴의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다.  잎 표면은 농녹색의 광택이 있고 뒷면은 담녹색을 띤다.  백수오의 뿌리에는 많은 전분과 조지방 그리고 여러 가지 미량성분과 기름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리성분으로는 옥시메틸안트라귀몬, 레시틴, 파이토토코톡신, 사르코스틴, 월포린, 리네올론, 시난콜 등이 있다.  백수오에는 익정, 금창, 한열, 중풍, 이뇨,  자양, 강정, 불임수태 등의 효능이 있어 자양강.. 2025. 1. 25.
맥문동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효능 1. 특성 및 성분맥문동은 관엽식물이며, 개화기에는 관화도 한다. 맥문동이라는 이름은 뿌리의 생김새에서 따온 것이다.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된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동북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맥문동은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초장은 30~50cm 정도 자라고 잎은 선형으로서 총생하며 상록성이지만 겨울에는 잎 색이 다소 변한다.  꽃은 6~8월경에 30cm 정도의 꽃대가 생겨 백색 또는 보라색의 총상화서로 핀다.  꽃이 지고 나면 콩알 크기의 열매가 맺히는데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익으면 검은색으로 된다.  한약재 맥문동은 맥문동 또는 소엽맥문동의 뿌리의 팽대부(膨大部)이다.  이 약은 방추형으로 길이 10~25mm, 지름 3~5mm이고, 약간의 냄새가 있으며 맛은.. 2025. 1. 18.
마(산약)의 특성, 용도 및 이용, 분류 및 품종 1. 특성 및 성분  마는 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덩굴식물로 뿌리는 육질이고 땅속으로 깊이 들어간다.  잎은 삼각형 또는 세모진 난형으로서 밑부분이 깊이 파여 있어 심장형과 비슷하고 끝이 뾰족하며 줄기에 돌려나거나 마주난다.  잎자루는 자줏빛이 있고. 잎겨드랑이에 꽃자루와 구슬 모양의 주아가 달린다.  주아는 육질의 영양체로서 종자와는 다른 것으로 이것을 영양번식용으로 종자처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일명 영여자라고도 한다.  마는 자웅이주식물로서 암그루와 수그루가 따로 있는데 꽃은 6~7월에 피고 수상화서가 한마디에 1~3개씩 나온다.  마의 지하부에는 육질로 된 덩이뿌리가 형성되는데 이것을 한방에서는 산약이라고 부르며 한약재로 쓰이고, 민간에서는 건강식품용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  덩이뿌리의 육질은 .. 2025. 1. 18.
당귀의 특성,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당귀는 참당귀의 뿌리이다.  이 약은 굵고 짧은 주근으로부터 줄기 및 잎의 잔기가 남아 있으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면서 달다.  참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며 다년생 숙근초로써 암녹색의 줄기가 1m 이상 자란다. 생육습성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여 경북 봉화 지방과 강원도 일대에서 잘 자라며  더운 지역에서 재배할 경우 생육이 정지되고 말라죽는 하고 현상이 나타난다. 당귀의 주요 성분은 조선당귀, 토당귀라고 하는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 가 조금씩 다른데, 이러한 성분 차이 때문에 최근에는 당귀의 기원식물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참당귀의 주요 성분은 데쿠르신(decursin),  데쿠르신놀(decursinol), 노다케닌(nodakenin), 베타-사이코스테롤(B-.. 2025.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