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0

라벤더의 특성 및 성상, 용도 및 이용,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특성 및 성상  라벤더는 꿀풀과의 다년초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영국,  인도,  프랑스 등지에서 주로 재배한다,  라벤더는 독특한 맛과 향기를 가지고 있어 고대 로마시대부터 약용과 조미료로 이용해 왔다.  라벤더에는 라벤더  베라, 스파일 라벤더, 스위트 라벤더 등 약 28개의 종이 있으며 종에 따라 모양과 특성이 약간씩 차이가 있다.  지상부는 관목과 같이 되는 다년초로써 높이 40~70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곧고 밑쪽은 목질화된다.  잎은 대생이며 길이 4cm 정도의 좁은 선형이고, 잎자루는 없으며 회녹색이고 흰 털로 덮여 있다.  종류에 따라서는 잎이 톱날처럼 생긴 것도 있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잎이 없는 긴 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이 꽃이 촘촘히 피는 수상화서를 .. 2025. 2. 2.
자소의 분포 및 특성, 성분 및 용도,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분포 및 특성  자소는 꿀풀과 일 년생 초본으로 중국 원산이며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 야생하거나 재배한다,  자소는 소엽, 자소, 차조기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나 근래에는 자소라는 명칭으로 통용되고 있다.  식물 전체는 자색을 띠며 향기가 있고, 줄기는 모가 지며 직립하는데 잎 색을 제외한 전체의 모습은 들깨와 유사하다.  꽃은 총상화서이고 줄기 또는 가지 끝에 피며 짧은 자루에 잔꽃이 많이 착생한다.  꽃부리는 짧은 통상으로 연한 자색의 꽃이 8~9월에 핀다.  전초를 말려서 약용으로 쓰며 생약명은 소엽이라고 한다.  자소의 잎은 깻잎과 같은 그윽한 향기가 있고 색깔도 좋으므로 식욕을 돋우는 야채나 샐러드로 쓰인다. 2. 성분 및 용도  자소는 들깨와 유사한 독특한 식물성 정유를 .. 2025. 2. 2.
섬백리향의 성상 및 특성, 성분 및 용도, 재배 및 관리 1. 성상 및 특성  섬백리향은 꿀풀과의 낙엽 소관목으로 경상북도 울릉도의 나리분지에 나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잎은 넓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서 길이는 1~1.5c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양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선점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길이 1cm 정도의 연한 분홍색 꽃이 줄기 끝에 촘촘히 모여서 피므로 짧은 이삭 모양으로 보이며 식물 전체에서 강한 향기를 풍긴다.  열매는 편평한 구형이며 9월경에 암갈색으로 익는다.  섬백리향은 백리향과 거의 유사한 백리항보다 원줄기가 굵고 잎은 약간 둥근 편이다.   꽃의 크기도 백리향보다는 크고 향기가 많다.  백리향은 영명으로는 타임이라고 하며, 서양의 허브식물로도 분류되어 있다.  백리향속 식물은 세계적으로 약 35종이 있.. 2025. 2. 1.
박하의 기원 및 내력, 성상 및 형태, 성분 및 용도,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1. 기원 및 내력  박하 속 식물에는 여러 개의 종이 있으며 북반구의 온대와 난대 지방에 20여 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1개의 변종이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 자생하는 변종은 전국 각처의 개울가와 저지대의 습지에 자생한다.  그러나 비교적 근래에 우리나라에서 재배한 것은 서양으로부터 도입한 일명 흑박하라고도 하는 불가리스종과 백박하라고 하는 오피시날리스종으로 이를 재배하여 외국으로 수출하였는데, 이는 1960년대 이전의 일이고 최근에는 박하를 재배하는 농가가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박하를 약초로 이용한 것은 오래전부터 이고, 이때는 주로 재래종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박하뇌, 즉 멘톨을 채취할 목적으로 재배한 것은 1910년 경이라고 한다.  그 후 1935~1962년까지는 정부의 적극적인 박하.. 2025. 2. 1.
배초향의 기원 및 내력, 성상 및 형태, 성분 및 용도, 분류 및 품종 1. 기원 및 내력  배초향은 중국, 일본, 대만, 한국 등 동아시아의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잡초처럼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각처의 산야지나 계곡의 약간 습기 있는 곳 또는 햇볕이 잘 쬐는 곳에 자생하며 지방명 또는 이명으로는 방아풀, 중개풀, 방아잎, 배향초, 곽향, 토곽향 등으로 불린다.  배초향의 우리말 이름은 배초향이나 방아풀이라고 하는 것이 더 옳다는 놀란이 있기도 하나 여기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배초향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배초향은 가까운 텃밭이나 밭둑 등지에 심어서 음식을 조리할 때 향신료로 쓰거나 나물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상당히 넓은 면적에서 재배하여 판매하기도 하는데 경북 경산, 전남 해남, 순천, 구례, 여수, 경남 하동 등지에서 비교적 .. 2025. 1. 31.
산마늘의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산마늘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며 식물 전체에서 마늘냄새가 난다.  산마늘은 한국,  중국,  일본,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지리산,  설악산,  울릉도의 숲 속에 자생하며, 토양에 부엽이 풍부하고 약간 습기가 있는 반그늘에서 자란다.  키는 25~40cm이고, 잎은 2~3장이 줄기 밑에 붙어서 난다.  잎은 약간 흰빛을 띤 녹색으로, 길이는 20~40cm, 이고, 폭은 3~10cm가량이다.  뿌리는 파와 비슷한 인경으로 되어 있다.  꽃은 5~7월에 줄기 꼭대기에서 흰색으로 뭉쳐서 피며 둥글다.  꽃이 진 후 작은 삭과가 생겨 결실하며 종자는 검고 둥글다.  산마늘은 망부추,  수수레,  메이풀,  얼룩산마늘, .. 2025.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