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0 천궁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천궁은 산형과에 속하는 천궁(궁궁이)의 뿌리줄기를 그대로 또는 열탕에 데친 것이다. 이약은 불규칙한 덩어리, 때때로 세로로 갈라져 있으며 길이 5~10cm, 지름 3~5c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어두운 갈색이고 겹친 결절이 있으며 그 표면에는 혹 같은 융기가 있다. 종단면의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게 갈라지고 안쪽 면은 회백색~회갈색으로 반투명이며 때로는 비어 있기도 하다. 질은 조밀하고 단단하다. 이 약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천궁은 산형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초장은 60~100cm 정도이고 잎은 미나리 잎과 모양이 비슷하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에 작고 흰 꽃들이 무리 지어 피며 우산 모양을 이루고 열매는 맺지 않는다. 뿌리는 토란 뿌리와 비슷하나 울퉁불.. 2025. 1. 27. 지황의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지황은 현삼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잎은 긴타원형이고 주름이 많으며 잎 몸에는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밀생 한다. 지상부의 모양은 잎자루가 없는 뿌리에서 모여 나고, 꽃은 잎 가운데서 10~30cm 정도의 꽃대가 나와서 그 끝에 종 모양으로 생긴 검붉은 색깔의 꽃이 피는데 꽃에도 흰색의 잔털이 많다. 꽃 속에는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나 자가불화합성이므로 씨는 잘 맺히지 않는다. 지황의 뿌리는 저장뿌리로서 길이는 30cm 정도이며 경엽이 나온 바로 밑부분은 가늘고 그다음부터는 차츰 굵어졌다가 끝부분은 다시 가늘어진다. 뿌리표면의 색깔은 대부분 담황색이지만 종류에 따라서는 적황색 또는 농황색인 것도 있다. 지황의 뿌리에는 만니톨, 카탈폴, 버 바스코스, 레반닌, 비타민A,.. 2025. 1. 26. 작약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작약은 목단 속의 다년생 초본으로 형태적 특성이 매우 다양하다. 재배하는 작약의 종류는 꽃 모양과 꽃 색 그리고 잎 모양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작약은 3월에 싹이 나와 5~6월에 꽃이 피는데, 한 포기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3~4개의 꽃이 핀다. 꽃은 겹꽃과 홑꽃이 있으며 꽃 색은 적색, 백색, 분홍색 등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관상용으로서도 가치가 높다. 작약은 뿌리를 한약재로 쓰는데 뿌리에 함유된 주성분은 모노테르펜 그리코사이드인 패오니 플로린이다. 이 성분은 뿌리에 약 0.05~5.8%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패오니 플로린 유도체들인 혹시 패오니 플로린, 벤조일 패오니 플로린, 알비플로린 등을 함유하며 안식향산과 갈로탄닌 등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2025. 1. 26. 율무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율무의 생약명은 '의이인'이다. 의이인은 율무의 종피를 제거한 씨앗이다. 이 약은 난형~넓은 난형이며 양끝은 다소 오목하고 길이 6mm, 너비 5mm 정도이다. 등 쪽은 둥글게 부풀어 있고 아래쪽 중아에는 세로로 깊은 홈이 있다. 등 쪽은 거의 백색의 가루질이고 아래쪽 중앙에는 세로로 깊은 홈이 있다. 등 쪽은 거의 백색의 가루질이고 아래쪽의 홈 및 그 밖의 표면 군데군데에 갈색 막질의 과피와 종피가 붙어 있다.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등 쪽은 백색의 내유로 되어 있고 아래쪽의 오목한 곳은 엷은 황색의 배반이 있으며 질은 단단하다. 이 약은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달다. 율무는 인도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 지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의 재배내력은 자세하지.. 2025. 1. 26. 오미자의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오미자는 오미자과의 덩굴성 식물인 오미자의 성숙된 열매이다. 이 약은 고르지 않은 구형~편 구형을 이루고 지름이 약 6mm로 어두운 적색~흑갈색을 띠며, 바깥면에는 주름이 있고 때때로 흰 가루가 묻어 있다. 과육을 벗기면 길이 2~5mm의 콩팥 모양의 씨가 1~2개 들어 있고 그 씨의 바깥면은 광택이 있는 황갈색~어두운 적갈색이며 등 쪽에 명확한 봉선이 있다. 외종 피는 벗겨지기 쉬우나 내종피는 배유에 밀착되어 있다, 이 약은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시고 나중에는 떫고 쓰다. 오미자는 덩굴성 목본식물로서 잎은 넓고 가을에 낙엽이 진다. 덩굴은 시계방향으로 다른 나무의 줄기를 감고 올라간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태백산, 지리산 등 깊은 산속에 많이 자생하고 있.. 2025. 1. 26. 식방풍의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식방풍은 갯기름나물의 뿌리이다. 『 대한민국약전외한약규격집 』에 의하면 식 방품의 모양은 원추형~방추형을 이루고 곁뿌리가 2~4개 달려 있으며, 길이 5~15cm, 지름 1~3cm이다. 바깥면은 회황색~회갈색이며 드문드문 길이 3~5mm의 적갈색 피목이 세로로 있고 근두부에 오목한 줄기 자국이 있으며 거친 세로주름과 잔뿌리 자국이 있다. 이 약재의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피부는 회갈색~엷은 갈색이며 빈틈이 보이고, 갈색의 형성층이 뚜렷하고 목부는 황갈색이며 치밀하다. 이 약재는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부드럽고 조금 쓰다. 이 약재를 지름 2cm 이상이며 충실하고 잔뿌리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 갯기름나물은 다년생 초본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의 해변 .. 2025. 1. 26.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