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0

도라지의 성상 및 형태, 성분 및 용도,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성상 및 형태  도라지는 초롱꽃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녹색이고 잎이 붙는 부분은 자색이며, 키는 40~9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모양은 보통 타원형이나 상부의 잎은 넓은 피침형이다.  잎의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톱니 모양을 하고 있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녹색을 띤다.  꽃은 7월 상순경부터 피기 시작하며, 종 모양이고 줄기가지 끝에서 유백색 또는 청람색으로 핀다.  양성화로서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암갈색으로 구명이 뚫린 꼬투리이고 다소 둥근형이며, 꼬투리 1개당 10개 정도의 종자를 갖는데, 종자는 장편구형이며 1000알의 무게는 1g 정도 되는 아주 작은 씨앗이다.  뿌리는 곧은 뿌리로 비대되며, 한방에서는 이.. 2025. 1. 30.
더덕의 특성 및 성분,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특성 및 성분  더덕은 초롱꽃과의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덩굴은 시계방향으로 감아 올라가고 담녹색을 띠며, 아랫부분에는 잎이 마주나지만 윗부분에는 어긋난다.  줄기의 윗마디에는 곁눈과 꽃눈이 섞여서 나온다.  더덕은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강원도와 경북 북부 산간지역에 많이 자생하고 있다,  더덕의 재배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주로 야생으로 자라고 있는 것을 채취하여 잔대 대용의 한약재나 식용으로 하던 것을 순화재배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한약재와 건강식품으로 그 수요가 계속 증가해 재배면적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산채로 이용하기 위해 재배하는 면적도 더욱 넓어지고 있다.  현재는 인삼,  당귀,  길경,  황기,  작약 다음으로 많이 하는 작물로 부상하였다.   한편,  더.. 2025. 1. 29.
치커리의 기원 및 내력, 특성 및 형태, 성분 및 용도, 재배 및 관리 1.  기원 및 내역  치커리는 유럽 원산의 국화과 다년초이며, 지중해 연안, 서남아시아, 북유럽, 카슈미르, 시베리아의 바이칼호 부근, 중국 서북부 등지에 분포하며 유럽지역에서 널리 재배된다.  치커리는 선단이 협착한 굵은 직근성의 뿌리를 가지며, 뿌리에는 커피맛과 비슷한 쓴맛이 있으므로 이것을 말려서 가루를 만들어 커피 첨가물로 이용하기 위해 재배하였다.  또한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제국 시대부터 치커리의 잎을 샐러드로 이용하였으며, 영국은 1548년, 독일은 1616년, 미국은 18세기 이후에 도입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아시아는 1800년대 말에 도입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강원도 인제에서 처음 재배되었다.  처음에는 뿌리를 커피 첨가물로 이용하기 위해 시험재배하였으나 1980.. 2025. 1. 28.
호프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수확 및 조제 1. 특성 및 성분  호프는 지중해 현안이 원산지이며 유럽에서는 승원에서 호프를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고( 1768년), 14세기경에는 맥주 양조에 호프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호프를 재배한 기록은 1938년 함경도 혜산진에서 재배한 것이 처음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남한에서는 1956년부터 시험재배가 시작되어 최근에는 강원도와 경북의 냉량한 산간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호프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숙근성 덩굴식물이며 보통 땅속줄기로 번식한다.  덩굴은 길이 5m까지 자라고 덩굴가지가 많이 발생하며, 잎은 3~5쪽으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이다.  수꽃은 수그루에서 피고 암꽃은 암그루에서 피는데 이러한 식물을 암수딴그루식물, 즉 자웅이주식물이라고 한다.  맥주 양조에 쓰이는 암꽃은 암그루의 가지.. 2025. 1. 28.
황기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황기의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이다.  이 약은 가늘고 긴 원주형을 이루고 길이 30~100cm, 지름 7~20mm이며, 드문드문 작은 가지뿌리가 붙어 있으나 분지 되는 일은 없고 근 두부 가까이에서는 약간 꼬여지고 줄기의 잔기가 남아 있다.   바깥면은 엷은 회황색 ~ 엷은 황갈색이며 회갈색의 코르크층이 때때로 군데군데 남아 있고 불규칙한 거친 세로의 주름과 가로로 피목 같은 모양이 보인다.  질은 치밀하고 꺾기 힘들며 꺾은 면은 섬유성이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조금 달다.  황기는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 원산의 다년생 숙근초이다.  줄기는 직립으로 90 ~ 150cm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은데 줄기의 아래보다는 위에서 많이 발생한다.. 2025. 1. 28.
황금의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황금은 꿀풀과 속 썩은 풀의 주피를 벗긴 뿌리이다.  이 약은 원주상 ~ 반관상 또는 평판상을 이루고 길이 5~25cm, 지름 5~30mm이다. 바깥면은 황갈색을 띠고 조잡하고 뚜렷한 세로의 주름이 있으며 군데군데 곁뿌리가 자국 및 갈색의 주피 파편이 남아 있다.  위 끝에는 줄기의 자국 또는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다.  묵은 뿌리에서는 목부가 썩어서 흑갈색으로 되고 때때로 속이 비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다.  이 약은 거의 냄새가 없고 맛은 조금 쓰다.  이 약을 건조한 것은 정량할 때 바이칼린 10.0% 이상을 함유해야 한다.  황금은 동아시아 대륙 원산으로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고 흔히 밭에서 재배하는 다년초이다.  키는 60cm 정도이며 전체에 털이 있고.. 2025.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