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0

쪽의 기원 및 내력, 특성 및 성분,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기원 및 내력  쪽의 원산지는 아시아의 온대지방으로 알려져 있다.  재배기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예로부터 인도에서 염료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중국에서는 염료 작물로 재배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염료로 사용하였으며 근래에 와서는 쪽물 염색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많다.  전남 보성, 나주, 경남 진주, 제주도 등지에서 소규모로 재배하고 있다. 2. 특성 및 성분  쪽은 마디풀과 또는 여뀌과에 속하는 일 년생 초본으로 초장은 60~150cm 정도 곧게 자라며, 줄기는 원주형이고 마디가 뚜렷하다.  잎은 호생하고 난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잎자루가 짧고 잎 끝은 날카롭거나 뾰족하며 거치가 없고 유리질이다.  윗마디의 잎이 아랫마디의 잎보다 남색 물질이 함량이 더 많다.  꽃은.. 2025. 2. 7.
후추의 기원 및 내력, 성상 및 형태, 성분 및 용도, 재배 및 생산 1. 기원 및 내력  후추는 인도 서부지방 원산으로 기원전 6세기경에 인도로부터 페르시아로 전파되어 아라비아와 그리스로 급속히 퍼졌고, 동쪽으로는 기원전 1세기에 자바로 들어갔고 그 후 인도차이나와 중국으로 전파되었다. 인도에서 실크로들 따라 전해진 후추는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유럽에서는 보석처럼 귀하게 여겼는데 순 은제 항아리에 넣어서 소중하게 다루었다.  우리나라는 비닐하우스에서 후추의 재배 생산을 검토한 바 있으나 겨울철 관리가 어렵고 품질과 생산성도 높지 않아 재배는 하지 않고 국내 수요량 전체를 수입하고 있다. 2. 성상 및 형태  후추나무는 후추과의 덩굴성 관목이다.  덩굴의 길이는 5~10m까지도 자라며 원 줄기에서 많은 곁가지가 발생하므로 잘 자란 나무는 원기둥 모양의 작은 관목 형태로 보.. 2025. 2. 6.
고추냉이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특성 및 성분  고추냉이는 일본이 원산지이며, 서늘하고 맑은 물이 흐르는 산간계속 가장자리의 반음지에 자생한다.  일본에는 규슈로부터 홋카이도에 이르는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울릉도에 유일하게 자생하고 있다.  고추냉이는 십자화과의 다년생 숙근초로써 뿌리줄기에 매운맛, 단맛, 향기를 가지고 있어 회, 초밥, 국수 등의 향신료로 이용된다.  근경과 화경은 주로 생식용으로 이용하고 잎이나 엽병, 잔뿌리 등은 가공원료로 쓰인다.  일본에서는 시즈오카 지방에서 옛날부터 산간계곡에 자생하고 있던 야생 고추냉이를 채취, 인공재배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본의 고추냉이 주산지는 시즈오카, 시네마,  나가노,  야마구치, 도쿄 등지이며 연간 생산량은 근경으로 1,176톤 정도에 이.. 2025. 2. 5.
치자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특성 및 성분  치자나무는 꼭두서니과의 상록관목으로서 한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과 아프리카,  필리핀, 멕시코, 오스트리아, 브라질 등 열대와 온대에 걸쳐 20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부터 염료작물로 재배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 이전에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키는 약 2~3m까지 자라고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잎은 가죽질로서 광택이 있고 보통은 마주나지만 때로는 3장씩 모여 나기도 하며,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유백색으로 향기가 있으며 5~7월에 엽액이나 가지 끝에서 한 송이씩 핀다.꽃잎과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화관은 지름 6~7cm로서 꽃잎은 두꺼운 편이고 6~7쪽으로 갈라지며 짙.. 2025. 2. 5.
강황(울금)의 특성 및 성분,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성분  강황은 독특한 맛과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커큐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황색색소를 가지고 있어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향신료 자원이다.  대표적인 식품은 인도음식 카레이며,  또 여러 가지 기능성무질과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약으로도 이용된다.  강황은 생강과 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세계적으로 80여 종 이상이 분포한다고 알려진 전형적인 다년생 열대식물이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온대에서는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조건에서도 왕성하게 생육하며 겨울철에는 지상부가 고사하여 일 년생 작물로 재배된다.  강황의 원산지는 인도를 비롯한 아열대 아시아지역이며, 인도와 동남아시아, 중국의 서남부지방에 걸쳐 서식하거나 재배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과거부터 한약재로 주로 사용하였으며, 울금이라고.. 2025. 2. 4.
스테비아의 특성 및 내력, 성분 및 용도, 분류 및 품종,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내력  스테비아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파라과이, 브라질, 아르헨티나 3국의 국경지대 산맥이 교차하는 곳의 작은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에 자생 분포하고 있는 감미료자원식물이다.  수백 년 동안 스테비아 원산지에서 원주민은 스테비아의 잎을 차에 혼하바여 음용해 왔으며, 파라과이에서는 예로부터 스테비아 잎을 감미료로 이용해 왔다.  최근 들어 높은 열량의 설탕을 과다하게 섭취함에 따라 비만과 성인병이 문제가 되고, 또한 식품이나 의약품에 첨가물로 필요한 인공합성 김미물질이 발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에 따라 합성감미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염감미물질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스테비아는 새로운 감미자원으로 대두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1973년에 일본으로부터 처음 도입되었으며 1976.. 2025.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