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0

유채의 생리 및 생태,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생리 및 생태  유채의 발아적온은 20~25℃, 최저온도 0~2℃, 최고온도는 38~40℃이다.  파종 후 약 3cm 정도 복토하면 발아가 양호하며 이보다 깊게 파종되면 발아가 불량하게 된다.  유채는 파성에 따라 추파형과 춘파형으로 나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추파형이 주로 재배되며, 추파형 유채의 화아분화와 추대 및 개화에는 두 가지 생육상을 경과해야만 한다. 첫 번째 생육상은 저온조건을 요구하며, 그다음의 생육상은 장일과 고온조건을 필요로 한다.  발아 후에 요구되는 저온경과 기간은 품종에 따라 다르며, 저온요구도가 낮은 품종을 춘파형이라 하고 저온요구 정도가 높은 품종을 추파형이라 한다.  유채가 자라서 영양생장이 정지되고 생식생장기로 접어들면 꽃대가 나오는데 이것을 추대라고 한다.  추대가 되면.. 2025. 2. 12.
유채의 기원 및 내력, 성분 및 용도, 생산 및 수요, 성상 및 형태 1. 기원 및 내력  유채의 원산지는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부터 시베리아에 걸친 지역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도에서는 기원전 200년,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일본에서는 9세기경부터 재배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재배내력 응 확실하지 않으나『산림경제 』에 '운대 '라는 이름으로 유채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등장하고,  그 후 평지, 채종 등으로 쓰여 왔으나 현재는 모두 유채로 통용되고 있다.  유채는 적종과 흑종이 있는데, 적종은 AA게놈을 가진 기본종으로서 과거부터 재배된 종이고, 기름을 채취하기보다는 이른 봄에 채소로 이용하며 지방에 따라 산동채, 하루나, 겨우살이 등으로 불리는 종이다.  흑종은 AACC게놈을 가진 복 2 배체로서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름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유채이다,.. 2025. 2. 11.
홍화(잇꽃)의 기원 및 내력, 생산 및 이용 1. 기원 및 내력  홍화의 우리말 명칭은 잇꽃이다.  그러나 잇꽃보다는 홍화로 더욱 널리 통용된다.  홍화의 원산지는 이집트, 남아시아로 추정되며 중국, 인디아, 페르시아, 이집트 등에서 선사시대부터 재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중세기에는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등지에서 재배되었으며, 아메리카 발견 이후 스페인 이주민들이 멕시코로 전파하였고,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등지에서 유료작물 및 염료작물로 재배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값싼 합성물감의 개발로 물감의 원료보다는 종실의 기름을 식용유로 이용하는데, 특히 홍화씨는 기름함량이 높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양질의 기름작물로서 주로 고온건조한 지대에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을 통하여 들어왔으며 평양 근처의 고조선시대 고분에서 홍화로 물들인 천이 .. 2025. 2. 10.
사탕무의 특성 및 내력,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내력  사탕무의 원산지는 동부 지중해 연안과 중앙아시아로 알려져 있으며 생김새는 무와 비슷하다.  뿌리에 설탕이 함유되어 있으며, 함유량은 대부분 15~20% 정도지만 30% 정도나 되는 개량된 품종도 있다.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생육기간 중의 온도는 15~20℃ 정도가 알맞고, 당분축적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20℃이다.  지중해 연안에서는 2000년 전에 이미 재배하였다고 하는데 오늘날과 같은 제당용으로서가 아니라 식용으로 재배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사탕무 재배는 1906년 권업모범장에서 독일로부터 종자를 도입하여 시험재배한 것이 시초인데, 1908년에는 각 지역에서 시험한 결과가 좋아 1917년 평양에 조선제당회사가 설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갈반병의 발생과 서탕가격의 폭락으.. 2025. 2. 9.
황칠나무의 분포 및 특성, 성분 및 용도,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분포 및 특성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로 세계적인 희귀종이다.  우리나라에는 한 속 한 종밖에 없으며, 남해안 일부 도서지방의 해변과 산록수림 속에서 자라는데 전남 보길도의 산야에 특히 많이 자생하고 있다.  내한성이 약한 반면 내음성과 내조성이 강하고 토심이 깊은 습윤한 지역에서 자라며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등과 함께 자란다.  제주도와 전남 완도, 보길도, 해남, 거문도, 가거도, 어청도 등남서해안 도서지역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으로서 해발 30~280m의 산록에서 잘라라는데 특히 해발 50~150m의 산 아래에 분포가 많고 동남향의 사면에 자생지를 이루고 있다.  황칠나무는 교목으로서 높이 7~15m까지 자라며,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수액이 나오는데.. 2025. 2. 9.
목화의 기원 및 내력, 특성 및 용도, 분류 및 품종 1. 기원 및 내력  목화의 원산지는 인도라고 추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기원전 3,000년경의 면사 ㅣ유적이 인도에서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목화의 재배역사도 인도가 가장 먼저이며, 인도에서 목화가 처음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700년경인 모헨조다로시대라고 한다.  인도로부터 중국에 전해 졌으며, 중국에는 송나라 고종 때 전해졌다고 하나 전국적으로 널리 보급된 것은 서기 1000년 전후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밀 공민왕 때 문익점이 원나라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올 때 (1364년) 가져온 목화씨  10개가량을 고향에서 그의 장인인 정천익과 더불어 나누어 심었는데,  장인이 심은 1개에서 싹이 나와 재배에 성공했으며 거기서 100여 개의 씨를 얻었다고 한다. (1365년).  그 장소.. 2025.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