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칠나무의 분포 및 특성, 성분 및 용도,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분포 및 특성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로 세계적인 희귀종이다. 우리나라에는 한 속 한 종밖에 없으며, 남해안 일부 도서지방의 해변과 산록수림 속에서 자라는데 전남 보길도의 산야에 특히 많이 자생하고 있다. 내한성이 약한 반면 내음성과 내조성이 강하고 토심이 깊은 습윤한 지역에서 자라며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등과 함께 자란다. 제주도와 전남 완도, 보길도, 해남, 거문도, 가거도, 어청도 등남서해안 도서지역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으로서 해발 30~280m의 산록에서 잘라라는데 특히 해발 50~150m의 산 아래에 분포가 많고 동남향의 사면에 자생지를 이루고 있다. 황칠나무는 교목으로서 높이 7~15m까지 자라며,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수액이 나오는데..
2025. 2. 9.
고추냉이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특성 및 성분 고추냉이는 일본이 원산지이며, 서늘하고 맑은 물이 흐르는 산간계속 가장자리의 반음지에 자생한다. 일본에는 규슈로부터 홋카이도에 이르는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울릉도에 유일하게 자생하고 있다. 고추냉이는 십자화과의 다년생 숙근초로써 뿌리줄기에 매운맛, 단맛, 향기를 가지고 있어 회, 초밥, 국수 등의 향신료로 이용된다. 근경과 화경은 주로 생식용으로 이용하고 잎이나 엽병, 잔뿌리 등은 가공원료로 쓰인다. 일본에서는 시즈오카 지방에서 옛날부터 산간계곡에 자생하고 있던 야생 고추냉이를 채취, 인공재배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본의 고추냉이 주산지는 시즈오카, 시네마, 나가노, 야마구치, 도쿄 등지이며 연간 생산량은 근경으로 1,176톤 정도에 이..
2025. 2. 5.
치자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특성 및 성분 치자나무는 꼭두서니과의 상록관목으로서 한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과 아프리카, 필리핀, 멕시코, 오스트리아, 브라질 등 열대와 온대에 걸쳐 20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부터 염료작물로 재배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 이전에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키는 약 2~3m까지 자라고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잎은 가죽질로서 광택이 있고 보통은 마주나지만 때로는 3장씩 모여 나기도 하며,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유백색으로 향기가 있으며 5~7월에 엽액이나 가지 끝에서 한 송이씩 핀다.꽃잎과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화관은 지름 6~7cm로서 꽃잎은 두꺼운 편이고 6~7쪽으로 갈라지며 짙..
2025.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