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

커피의 특성 및 성분,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특성 및 성분  커피나무는 꼭두서니과 커피나무속의 다년생 상록활엽수로서, 높이 3~9m까지 자라는 관목이며 줄기에는 많은 가지가 있고 가지는 수평 또는 밑으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5~20cm, 너비 2~7cm 정도로서 농녹색이고 잎 표면은 유리질이며 광택이 있고 윤기가 난다.  꽃은 흰색으로서 별 모양이며, 꽃피는 습성은 3~4개가 마주 피고 크기는 2cm 정도이다.  꽃이 피어 있는 기간은 길지 않으며 짙은 향기가 있다.  꽃이 수정되면 씨방이 굵어져 길이 1.5cm 정도의 열매가 맺히는데, 열매는 핵과로서 성숙되기까지는 7~9개월 정도 걸린다.  익은 열매는 진홍색으로서 달콤한 맛을 내며  핵과의 외피는 약 2mm 두께의 젤리 같은 펄프층으로 되어 있는데, 그 속에 8.5~12.5mm.. 2025. 2. 14.
아주까리의 기원 및 내력, 생산 및 이용 1. 기원 및 내력  아주까리의 원산지는 에티오피아를 중심으로 한 중동부 아프리카 지역이며 아라비아반도와 인도 및 중국은 지역 분화종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아주까리는 중국을 거쳐 전래되었으며, 미국 선교사에 의해서도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주까리 재배면적은 1946년 이후부터 1960년까지 3,000ha 정도였다.  1960년대 초에는 급속히 증가하여 1963년에는 7,600ha로 최고에 이르렀으나, 1977년부터 크게 감소하여 1980년대 이후에는 거의 재배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아주까리기름은 매년 2,000톤 이상을 수입하고 있다.  한편, 아주까리는 바이오디젤 생산에도 비교적 유리한 작물로 평가되는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국내 자급생산을 위한 재배 및.. 2025. 2. 13.
유채의 생리 및 생태, 분류 및 품종, 재배 및 관리, 수확 및 조제 1. 생리 및 생태  유채의 발아적온은 20~25℃, 최저온도 0~2℃, 최고온도는 38~40℃이다.  파종 후 약 3cm 정도 복토하면 발아가 양호하며 이보다 깊게 파종되면 발아가 불량하게 된다.  유채는 파성에 따라 추파형과 춘파형으로 나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추파형이 주로 재배되며, 추파형 유채의 화아분화와 추대 및 개화에는 두 가지 생육상을 경과해야만 한다. 첫 번째 생육상은 저온조건을 요구하며, 그다음의 생육상은 장일과 고온조건을 필요로 한다.  발아 후에 요구되는 저온경과 기간은 품종에 따라 다르며, 저온요구도가 낮은 품종을 춘파형이라 하고 저온요구 정도가 높은 품종을 추파형이라 한다.  유채가 자라서 영양생장이 정지되고 생식생장기로 접어들면 꽃대가 나오는데 이것을 추대라고 한다.  추대가 되면.. 2025. 2. 12.
유채의 기원 및 내력, 성분 및 용도, 생산 및 수요, 성상 및 형태 1. 기원 및 내력  유채의 원산지는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부터 시베리아에 걸친 지역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도에서는 기원전 200년,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일본에서는 9세기경부터 재배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재배내력 응 확실하지 않으나『산림경제 』에 '운대 '라는 이름으로 유채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등장하고,  그 후 평지, 채종 등으로 쓰여 왔으나 현재는 모두 유채로 통용되고 있다.  유채는 적종과 흑종이 있는데, 적종은 AA게놈을 가진 기본종으로서 과거부터 재배된 종이고, 기름을 채취하기보다는 이른 봄에 채소로 이용하며 지방에 따라 산동채, 하루나, 겨우살이 등으로 불리는 종이다.  흑종은 AACC게놈을 가진 복 2 배체로서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름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유채이다,.. 2025. 2. 11.
홍화(잇꽃)의 기원 및 내력, 생산 및 이용 1. 기원 및 내력  홍화의 우리말 명칭은 잇꽃이다.  그러나 잇꽃보다는 홍화로 더욱 널리 통용된다.  홍화의 원산지는 이집트, 남아시아로 추정되며 중국, 인디아, 페르시아, 이집트 등에서 선사시대부터 재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중세기에는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등지에서 재배되었으며, 아메리카 발견 이후 스페인 이주민들이 멕시코로 전파하였고,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등지에서 유료작물 및 염료작물로 재배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값싼 합성물감의 개발로 물감의 원료보다는 종실의 기름을 식용유로 이용하는데, 특히 홍화씨는 기름함량이 높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양질의 기름작물로서 주로 고온건조한 지대에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을 통하여 들어왔으며 평양 근처의 고조선시대 고분에서 홍화로 물들인 천이 .. 2025. 2. 10.
사탕무의 특성 및 내력, 생산 및 이용 1. 특성 및 내력  사탕무의 원산지는 동부 지중해 연안과 중앙아시아로 알려져 있으며 생김새는 무와 비슷하다.  뿌리에 설탕이 함유되어 있으며, 함유량은 대부분 15~20% 정도지만 30% 정도나 되는 개량된 품종도 있다.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생육기간 중의 온도는 15~20℃ 정도가 알맞고, 당분축적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20℃이다.  지중해 연안에서는 2000년 전에 이미 재배하였다고 하는데 오늘날과 같은 제당용으로서가 아니라 식용으로 재배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사탕무 재배는 1906년 권업모범장에서 독일로부터 종자를 도입하여 시험재배한 것이 시초인데, 1908년에는 각 지역에서 시험한 결과가 좋아 1917년 평양에 조선제당회사가 설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갈반병의 발생과 서탕가격의 폭락으.. 2025. 2. 9.